분류 전체보기33 “해커에게 노출된 공공 와이파이, VPN으로 보호해야” “해커에게 노출된 공공 와이파이, VPN으로 보호해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732&oid=138&aid=0002061725 요즘 지하철 등 데이터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고 스마트폰 이용이 가능한 공공 와이파이가 보편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점차 확대해나가고있다. 공공 와이파이는 13,000여 곳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500여곳은 보안 접속 기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사람들은 보안이 취약하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지만, 당장 이용하는데 문제가 없으니 간과하고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이 때 공격자들은 공공 와이파이를 통해 이용자의 민감 정보를 탈취 또는 공격에 .. 2018. 5. 11. 엠넷 이용권(정기 결제) 해지하기 출,퇴근 시간 뿐만아니라 평소에도 종종 음악 듣기 좋아하는 사람들은정기 결제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 '카카오미니'를 선물 받았는데 여기서는 멜론 이용권을 이용해야만 음악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했기 때문에내가 이용하는 사이트 이용권을 해지하기로 했다. 이제 멜론, 지니 등 3개의 음원 사이트가 이용권 가격을 3만원 대로 올린다고 하는데아직은 올리지 않았으니 이용해 보려고 한다. 나는 매달 정기 결제를 통하여 음원 사이트 엠넷을 이용했다.엠넷 이용권을 해지하는 방법과 함께 내 이용권도 해지해보겠다. 엠넷 이용권 해지를 위해서는 꼭! PC를 이용해야한다.스마트폰을 주로 이용한 나는 불편했다. 먼저 웹사이트에 접속 후 로그인을 한다. 로그인 후에 오른쪽 상단에 내 이름을 클.. 2018. 5. 10. 증가하는 모바일 APT 공격, “시간이 없다” 증가하는 모바일 APT 공격, “시간이 없다” 스마트폰, “전화기” 아닌데 전화기처럼 보호하려니 실패 PC보다 발전 속도 빨라...유기적인 대응 체제 갖출 시간 부족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9211&page=1&mkind=1&kind=1 보안 업체 룩아웃의 부회장인 마이크 머레이는 스마트폰은 전화기가아니라 우리의 디지털 삶 모든 영역에 동원되는 전자기기이지만 예전 폴더폰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말했다. 우리의 모든 삶과 관련되어있으므로 스마트폰에 공격을 당했을 때 우리 삶을 침범할 수 있는 통로가 되는 것이라 설명한다. 많은 사용자들이 스스로 링크 클릭, 악성 파일 다운로드를 통해 공격자의 영역에 들어가며, 이 때 공격자는 최종적으로 권한을 상.. 2018. 5. 10. 생체인식 결합시 더욱 강력한 ‘동형암호’ 아시나요? 생체인식 결합시 더욱 강력한 ‘동형암호’ 아시나요? 서울대 천정희 교수, 기업체와 함께 동형암호와 생체인식 결합 연구 2018년 말~2019년 초 산업계에서 동형암호 활성화 기대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9161&mkind=1&kind=5 통신업체, 금융권, 쇼핑몰, 의료계통 등 개인정보를 다루거나 주요데이터를 다루는 곳에서 개인정보 유출은 회사의 이미지를 추락시키며 경제에도 타격을 입히는 큰 사고이다. 때문에 관련 담당자 뿐만 아니라 소비자, 이용자 또한 개인정보보호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각각의 분야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에서는 개인정보에 대한 안전성 확보조치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로 암호화 조치를 수행토.. 2018. 5. 9. “시스템 붕괴됐다” 성공적인 평창올림픽 무대 뒤 긴박했던 12시간 “시스템 붕괴됐다” 성공적인 평창올림픽 무대 뒤 긴박했던 12시간 ◆2월9일 20시 사이버공격 시작◆1단계 복구 돌입 “필요 서비스부터 정상화해라”◆철야 속 서비스 재개, 본격적 복구 나서◆긴장감 유지하며 추가공격 대비◆“공격자, 북한은 아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8483 이번 올림픽은 한국에서 개최되었기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또한 1218대의 드론으로 연출한 모습들은 CG가 아니냐는 의심을 불러일으킬정도로 장관이었으며, 세계 각국의 관심을 불러모았다. 온 세계가 한 마음으로 기대하던 평창올림픽 개막식 당일, 무대 뒤에서는 사이버 공격을 받아 혼돈의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2018년 2월 9일 20시 개막식이 울렸을.. 2018. 5. 8. 이전 1 2 3 4 5 6 7 다음